결과공유가 늦어 죄송합니다.  회의록 정리하다 급한일하다 그러다가 시간이 훅 가고 말았어요. 회의록 정리하다 딴짓하지 않고 바로바로 하겠습니다.  시간이 많이 흘러 진행된 내용이 많습니다.  결과 와 함게 진행된 내용까지 포함해 공유합니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마포공동체경제네트워크 모아 운영위원회 회의록 

 

- 일시 : 2017.8.24.(목) 오후 8시

- 장소 : 카페 M

- 참석 : 김성섭, 서정래, 오현주, 윤성일, 조영권, 한선경 (고금숙, 위성남, 이창환, 정경섭)

 

[논의안건]

 

1. 모아 제도 변경 안

1) 월 구매 상한액 선정 : 월 구매 상한액을 월70만원으로 정하기로 함.

모아 활성화와 더불어 안전한 관리가 필요. 10만원 이상 구매자 판매처에서 정보기입할 수 있도록 장부관리. 연락처 받아 모아 소식도 전하기로 함.

2) 추가이용권 5%제도 보완

추가이용권 5%를 소비자가 가져가는 것 과 함께 단체에 기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도입.

=> 설문조사 이후 결과를 반영해 시행하기로 함.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 찬성하여 10월 약정자들부터 시행하기로 함. 추후 현금으로 단체에게 5%를 지급하는 것과 관련 논의하기로 함. 

 

2. 가칭) 마포대안경제포럼 개최의 건

아래의 계획을 논의하고 재미있고 단체에서 부담스러운 일정이 아닌 실용적인 자리로 만들기로 하고 추진키로 함.

1) 제안취지

- 지난 1년6개월 관계경제의 가능성 확인. 네트워크로 먹고사는문제, 공동체/단체를 뛰어넘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론의 논의자리 마련

- 공동체가게이용권, 공동체은행 등 다양한 주체의 열린 토론의 장을 통해 모두의 플랫폼으로

- 공동체들의 경제관련 주제를 모아 함께 해결 하는 장

- 지역경제에 대한 재고

2) 준비를 위한 첫 준비모임 진행, 실행위 회의 진행함

첫모임 결과 보기 /board_view.php?id=354&page=1

실행위 첫모임 결과 /board_view.php?id=355&page=1

3) 일시는 11월 첫주로 정했으나, 마포로컬리스트컨퍼런스에 결합해서 함께준비하는 것을 고려해보기로 함.

 

3. 공동체은행 시범운영 진행의 건

- 공동체은행 TFT에서 제출한 시범운영계획을 심의 결정함.

- 유용하게 쓰자팀 은 기존 심사역할 맡는 팀인데, 운영위원회, 공동체은행TF에서 이제경 이 함께 구성하기로 함.

- 괜찮아요 팀은 사용후 반환이 연체된 사람에 대한 일을 하는 팀임. 기존 금융에는 추심 이런 일을 담당하지만 괜찮아요 팀이라 이름짓고 상담 및 같이 해결하는 방법모색하기로 함. 괜찮아요협동조합과 공동체은행TF 신동선 이 구성하기로 함.

=> 공동체은행 TFT에서 최종심의한 결과 아래 내용으로 확정하여 진행예정.

- 신청대상: 모아회원, 약정자로 정리 (신규 회원가입 및 약정신청자 포함)

- 사용대상 

: 긴급생활자금 으로 정리 (고이자 대출상품을 쓰는 사람들도 긴급생활자금용도로 하는 것이고, 심사하면서 이야기될 수 있을것으로 함)

: 100만원 사용을 기본으로 하고, 최대 200만원까지 사용신청받기로 함

- 사용계획금액 : 1,000만원 (희망연대노조 지역공헌기금임을 홍보하기로 함), 모아 공동체이용권 가용자산은 현재로는 안정적으로 사용금액 정하기 어려움

- 사용조건 : 거치기간 두기로 함. 기본1달. 사용이자 연2~5%에서 협의후 결정하는 것으로 함. 거치이후 1년동안 원리금균등상환을 기본으로 함. 기간도 심사하며 최종결정.

- 사용절차: 신청서 작성. 모아의 유용하게쓰자팀에서 논의 후 결정하고 협의.

=> 웹자보 제작하여 추석전 홍보 / 현재 김핀 님이 제작중.

 

[보고/점검안건]

1. 모아 현황

- 공동체가게 155곳, 요즘 공동체가게 참가신청이 부쩍 늘고 있음. ^^ 

=> 현재 159곳으로 확대 됨. 

- 모아 약정자 는 70명, 월 980만원 사용중.  모아 약정자 모집을 지속적 추진 필요.

 

2. 맘편히 장사하고 픈 상인들의 모임과의 협업

- 토론회 후속으로 협약 체결 및 공동체가게 가입 등 추진. 

 

3. 보행+노인복지+지역경제 프로젝트 

- 서울대 박소현교수팀과 협업

- 9월 8일 오후 3시, 노인의 삶에 대한 강좌(최현숙 ‘할배의 탄생’저자) 시작으로 9월 연속간의 진행예정

=> 9월 8일 최현숙, 9월 22일 윤성일, 박소현 강의 진행함.

=> 1차적으로 노인 참여자 60명 모집하여 노인의 삶과 소비패턴 등을 분석하고, 2차적으로 모아를 통한 보행, 경제소비행위 변화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기로 함.

 

4. 모아, 지역경제활성화 서울시 토론회

- 지난 7/28일 개최, 전문가, 지역단체, 서울시 관계자 참여속에 의미있게 개최

- 토론회때 나온 의견에 대한 후속대책 마련 필요. 향후과제에 대해 마포구와 서울시 면담 진행 예정

 

5. 모아와 온라인플랫폼 협력위한 위즐과의 토론회진행

- 일시: 7월 24일

- 모아와 위즐 현황 및 과제공유 및 논의함

 

6. 롯데복합쇼핑몰 대책위 

- 손혜원 의원 간담회 진행

- 롯데복합쇼핑몰 반대 서명운동 돌입 (8월 24일 2시 망원역에서 진행함)

=> 본격적으로 추석 즈음부터 서명운동 진행하기로 함. 모아는 공동체가게에 제안하여 서명운동 동참 제안

 

7. 리빙랩 사업

- 홍보 작업

: 악정자 확대위한 지갑제작 => 설문조사 결과 일반적 홍보가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지갑제작 대신 일반 홍보 방안 모색키로 함.

: 판매처 홍보물제작 검토 => 판매처를 환전소로 바꾸고 홍보물 제작 하기로 함.

 

8.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협업

- 최저임금 현실화 청년기본소득 실험은 너무 광범위하고 사업규모도 큼

- 공동체가게 스토리 홍보나 망원동 중심의 공동체가게확대, 모아 이용에 대한 사업으로 제안사업 응모검토

=> 괜찮아요협동조합과 성미산문화협동조합, 모아 가 공동으로 망원동 중심의 골목경제와 문화가 만나는 사업제안하여 채택됨

=> 자유여행컨셉, 공동체가게 확대와 소비자가 환전하며 골목여행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컨셉으로 계획함

 

9.  모아 공동체은행 TFT

- 꿈을 현실로, 설문조사 진행

=> 설문완료. 은행준비 및 모아 활성화에 대한 자료로 활용.

 

10. 기타

- 시흥지역 강연 7월 10일. 모아 사례 벤치마킹하여 이용권 추진 예정

- 대전지역에서 지역화폐포럼 참여하여 발제. 7월 19일. 모아에 대한 뜨거운 관심확인

- 마르쉐장터 @문화비축기지에서 모아 전체사용 9월 16일 진행함. 예년 보다 뜨거운 참여와 관심. 최윤혜, 박세찬, 김지민, 고금숙, 윤성일 부쓰운영함

- 달시장 @문화비축기지에서 모아 전체사용. 9월 9일 진행. 고수연 윤성일 부쓰 운영.